네트워크(9)
-
[네트워크 기초 #10] IP 주소 통신_IP 프로토콜
IPv4 프로토콜 - IPv4가 하는 일 - IPv4 프로토콜의 구조 ICMP 프로토콜 - ICMP가 하는 일 - ICMP 프로토콜의 구조 라우팅 테이블 - 패킷은 어디로 이동할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과정 - 다른 네트워크까지 패킷의 이동 과정 IPv4의 조각화 - 조각화란? 멀리 있는 곳(다른 LAN 대역)과 통신하기 위해서 IP 주소를 이용해 IPv4 프로토콜로 통신합니다.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 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합니다. IPv4 프로토콜의 구조 한 행당 4 B..
2021.08.10 -
[네트워크 기초 #8] IP 주소 통신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MAC 주소로 통신을 하지만 사람은 IP 주소를 입력해서 통신을 하게 됩니다. 즉, 컴퓨터끼리 IP 주소로 통신한다고 봐도 무방한 것입니다. 그럼 IP 주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3 계층에 주목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2 계층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소 체계는 MAC 주소이고 3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체계는 IP 주소입니다) 3 계층의 기능 일반적인 IP 주소 특수한 IP 주소 3 계층의 기능 3 계층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LAN)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하며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합니다. 다른 말로 정리하자면 서로 떨어져 있는 LAN과 LAN을 연결시켜 WAN으로 ..
2021.05.11 -
[네트워크 기초 #7] Local Area Network에서는 어떻게 통신할까?
LAN(Local Area Network)에서는 어떻게 통신할까요? 이 부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OSI 7 Layer의 2 계층에 주목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계층에서 하는 일 (기능, 크기) 2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2 계층 프로토콜 MAC & Ethernet 2 계층에서 하는 일 2 계층의 기능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즉, 같은 네트워크 상(LAN 대역)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하는지, 내가 전달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등을 제어하는 일을 합니다. >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수행 2 계층의 네트워크 크기 2 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합니다. 만약 다른 LAN 대역에 있는 장비와 통신할 때는 무조건 3 계층의 개..
2021.05.11 -
HTTP 파헤치기(1)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웹 개발을 할 때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Request/Response를 주고받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주는 프로세스루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 HTTP의 특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HTTP 네트워크 모델 참고) 비연결성(Connectionless) 무상태(Stateless) 상태코드(Status) 메서드(Method) HTTP Header 1. 비연결성(Connectionless)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매 연결마다 독립적으로 수행합니다. 즉, 한 번 맺은 연결을 끊어버리는 것입니다. 서버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연결..
2021.05.04 -
[네트워크 기초 #6] 5.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1) TCP/IP 모델 1960년대 말 미국방성의 연구에서 시작돼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로 공개 현재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 보통 네 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 4 계층 : 응용 - 3 계층 : 전송 - 2 계층 : 네트워크 - 1 계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OSI 모델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놓은 것 - 7 계층 : 응용 (Application Layer) > HTTP, SMTP, IMAP, POP, SNMP, FTP, TELNET, SSH - 6 계층 : 표현 (Presentation Layer) ..
2021.04.30 -
[네트워크 기초 #5] 1-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구글과 나의 컴퓨터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해보자 구글의 DNS 서버의 IP 주소는 8.8.8.8이다. 내 컴퓨터가 구글의 서버와 연결이 이뤄질 때 거쳐간 LAN 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총 10개의 LAN 대역을 거쳐서 도달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15개 대역 안으로 찾아간다.
202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