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3)
-
[네트워크 기초 #10] IP 주소 통신_IP 프로토콜
IPv4 프로토콜 - IPv4가 하는 일 - IPv4 프로토콜의 구조 ICMP 프로토콜 - ICMP가 하는 일 - ICMP 프로토콜의 구조 라우팅 테이블 - 패킷은 어디로 이동할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과정 - 다른 네트워크까지 패킷의 이동 과정 IPv4의 조각화 - 조각화란? 멀리 있는 곳(다른 LAN 대역)과 통신하기 위해서 IP 주소를 이용해 IPv4 프로토콜로 통신합니다.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 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합니다. IPv4 프로토콜의 구조 한 행당 4 B..
2021.08.10 -
[네트워크 기초 #9] IP 주소 통신_ARP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 - ARP가 하는 일 - ARP 프로토콜의 구조 ARP 프로토콜의 통신 과정 - IP 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오는 과정 ARP 테이블 - 나와 통신했던 컴퓨터들 - ARP 테이블 확인해보기 - ARP 프로토콜 분석하기 ARP 프로토콜 ARP가 하는 일 일반적으로 우리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것은 IP 주소입니다. 하지만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컴퓨터들끼리 통신할 때 필요한 것은 MAC 주소입니다. (MAC 주소가 들어간 Ethernet 프로토콜) IP 주소를 입력했을 때 컴퓨터들끼리 서로의 MAC 주소를 알아보게 되는데 이때 ARP 프로토콜을 이용해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오게 됩니다. 사용자는 IP 주소만 입력하더라도 컴퓨터가 자동으로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오고 그 MAC 주소..
2021.07.21 -
[네트워크 기초 #8] IP 주소 통신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MAC 주소로 통신을 하지만 사람은 IP 주소를 입력해서 통신을 하게 됩니다. 즉, 컴퓨터끼리 IP 주소로 통신한다고 봐도 무방한 것입니다. 그럼 IP 주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3 계층에 주목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2 계층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소 체계는 MAC 주소이고 3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체계는 IP 주소입니다) 3 계층의 기능 일반적인 IP 주소 특수한 IP 주소 3 계층의 기능 3 계층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LAN)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하며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합니다. 다른 말로 정리하자면 서로 떨어져 있는 LAN과 LAN을 연결시켜 WAN으로 ..
2021.05.11